OSI 7계층

2021. 6. 1. 02:45Study/CS

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.

 

  • 1 Layer - 물리 계층
    •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.
    • 통신 단위는 비트이다 (1,0)
    • 데이터 전달만을 신경쓸뿐,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는 신경쓰지 않는다.
    • 케이블, 리피터, 허브
  • 2 Layer - 데이터 링크 계층
    •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.
    • 통신의 오류를 찾고 재전송도 하는 기능을 한다.
    • 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하게 된다.
    • 전송되는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한다.
    • 브리지, 스위치
  • 3 Layer - 네트워크 계층
    •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(라우팅)
    • 경로를 선택하고, 주소를 정하고,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것이 역할
    •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, 그 과정에서 전송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(QoS)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,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.
    • 라우팅, 흐름제어, 세그멘테이션, 오류 제어, 인터네트워킹 등을 수행한다.
    • 논리적인 주소 구조(IP)를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할당하는 구조를 가지며, 계층적이다
  • 4 Layer - 전송 계층
    •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
    •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.
    • 만약 데이터가 왔다면 이 계층에서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 5계층에게 전달한다.
    • TCP/UDP
      • TCP 
        •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 : 패킷 손실, 중복, 순서바뀜이 없도록 보장한다.
        • 연결지향적 : Lossly Connected
        • 단 대 단
      • UDP
        • 신뢰성이 낮음
        • 비연결성
        • 1 대 다
        • 빠른 요청
        • 헤더가 단순함
    • 상위 계층들이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준다.
  • 5 Layer - 세션 계층
    •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
    • 네트워크 상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
    • 응용 프로그램 관점에서 봐야한다. (전송 계층은 물리적인 관점)
    • 세션 설정, 유지, 종료, 복구
    • TCP/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진다.
    • OS
  • 6 Layer - 표현 계층
    •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, 암호화한다.
    •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에서 덜어준다.
    • MIME 인코딩, 암호화
  • 7 Layer - 응용 계층
    • 최종 목적지로서 HTTP,FTP,SMTP,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.
    •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.
    •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. (메일, 브라우저)

 

'Study > 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ree  (0) 2022.02.06
정렬 C++  (0) 2021.06.01
Graph  (0) 2021.05.30
Tree  (0) 2021.05.30
Stack / Queue  (0) 2021.05.30